서울공예박물관, 국가유산급 공예 유물 두 점 학술총서 발간

0
12

– 『은제 오얏꽃무늬 발』과 『화각함』 학술총서 발간…연구결과 체계적 조명
– 대한제국 시기 공예의 근대적 변화를 보여주는 ‘은제 오얏꽃무늬 발’, 세계 유일 화각기법 ‘화각함’
– 『화각함』, 도서 내용 요약 및 사진·일러스트 중심 구성한 소책자(미니북)도 발간
– 서울공예박물관 박물관가게(안내동 1층) 구매 및 공예도서실 및 국공립도서관에서 누구나 열람 가능

□ 서울공예박물관(관장 김수정)이 소장 중인 국가유산급 대표 공예작품을 일반 시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술총서 『은제 오얏꽃무늬 발』과『화각함』두 권을 발간했다. 학술총서는 특정 주제에 관한 깊이 있는
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일련의 학술 서적 시리즈를 일컫는다.

□ 이번에 출간된 『은제 오얏꽃무늬 발』은 2021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유물을 다룬다. 이 은그릇은 대한제국 시기(1907~1910) 우리 공예의 근대적 변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작품으로, 근대 프레스 기법으로 형태를 잡고 전통 조이질 기법으로 장식했다. 뚜껑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 무늬와 ‘만수무강(萬壽無疆)’ 글씨를, 몸체에는 ‘길상여의(吉祥如意)’ 글씨를 새겼다.

○ 이 은그릇은 1908년 ‘한성미술품 제작소’에서 만들어졌으며, 구혜인 (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연구원)의 연구를 통해 차나 한약을 담는 탕기였음이 밝혀졌다.
○ 또한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보유자 곽홍찬과 함께 단절된 금속공예 제작기술을 연구하고, 특히 그 기술을 적용하여 은그릇의 뚜껑을 복원하는 과정을 상세히 담았다. 근대 금속공예 제작 기술을 실증적으로 살펴 볼 수 있
는 기회다.

□ 이번에 함께 발간된 『화각함』은 조선 후기에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발달한 독창적 공예기법인 ‘화각(華角)’ 분야를 심층적으로 다룬다. ‘화각’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, 한국 1세대 화각장인 음일천(1908-1973)부터 현재 국가무형유산 화각장 보유자 이재만까지 이어지는 근현대 화각장 계보 등을 조명했다. 또한 내용을 요약한 미니북(7X7cm)도 함께 발간했다.

○ ‘화각(華角)’은 원통 모양의 소뿔을 판판하게 펴고 얇게 다듬은 뒤, 색색의 안료로 그림을 그려 가구나 상자, 자 등 물건에 붙여 장식하는 세계 유일의 전통 공예 기법이다.
○ 이 책에서는 서울공예박물관이 소장중인 조선 후기 <화각함>을 중심으로 화각 기법의 발전과정, 문양 제작과 기술의 변화 등 한국 화각공예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다룬다.

□ 서울공예박물관이 발간한 ‘소장품탐구 시리즈’ 도서들은 서울공예박물관 박물관가게(안내동 1층)에서 구매할 수 있고, 공예도서실을 비롯한 국공립도서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.

□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“앞으로도 다양한 공예품의 시대적 배경과 맥락, 장인들의 재료 탐색, 공예 기술의 축적 과정을 탐구하고 그간 알려지지 않은 공예와 장인들의 이야기를 발굴해 우리 공예가 대중들에게 쉽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

 

출처 : 서울공예박물관 수집연구과 수집연구과장 오문선 02-6450-7070

회신을 남겨주세요

Please enter your comment!
Please enter your name here